기사 메일전송
장애인 고용률 2.92% 달성... 의무고용률 0.2%p 상향 조정 결과
  • 박철진 기자
  • 등록 2020-04-20 09:48:36

기사수정
  • 고용부, 2019년말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현황 발표
의무고용사업체의 장애인 고용인원(명) 및 고용률(%)
의무고용사업체의 장애인 고용인원(명) 및 고용률(%). (자료=고용노동부)

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 2.92%를 달성했다.

고용노동부는 장애인고용법에 따라 제출된 2019년 말 기준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상황을 발표했다.

2019년은 2018년보다 의무고용률은 0.2%p 상향 조정하고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 노력을 이어간 결과, 장애인 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고용률은 2.92%를 달성했다.

이는 전년과 비교해 0.14%p 오른 것이며 2010년 중증장애인 두배수 인정 제도가 도입된 이후 증가폭도 최고치다.

의무고용 사업체의 장애인 근로자 수는 24만5천184명이다. 전년과 비교하면 8% 올라 1만8천189명이 늘었다.

장애인 의무고용 현황을 부문별로 살펴보면, 국가·지방자치단체 공무원 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2.86%로 전년과 비교해 0.08%p 올랐으며 장애인 공무원 수는 전년과 비교해 1,171명이 증가한 25,812명이었다.

국가·지방자치단체 근로자 부문의 장애인 고용률은 5.06%로 전년과 비교해 0.74%p 올랐는데,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장애인 고용률이 1.25%p 오르는 등 고용 노력이 두드러졌다.

공공기관의 장애인 고용률은 3.33%로 전년과 비교해 0.17%p 높아졌다. 공공기관별 고용률을 보면 지방공기업이 4.12%로 가장 높았다.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률은 2.79%로 전년과 비교해 0.12%p 올랐다.

1000인 이상 기업의 고용률은 2.52%로 낮은 수준이나, 작년 2.35%에서 0.17%p 올랐다.

송홍석 고용노동부 통합고용정책국장은 “최근 코로나-19 확산으로 기업의 경영여건이 악화되고 있어 고용 취약계층인 장애인의 일자리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”며 “기업이 어려운 여건에서도 장애인 고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공공부문이 장애인 고용을 앞장서서 이끌어 나가도록 꾸준히 독려하겠다”고 밝혔다.

0
  • 목록 바로가기
  • 인쇄


모바일 버전 바로가기
error: 관리자에게 문의하여 주십시오.